[k8s | node 추가] master node, worker node join

[k8s | node 추가] master node, worker node join

master node 혹은 worker node 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우선 해당 클러스터에 총 3개의 node가 존재하고 하나의 노드를 지운 후에 master node로 join하는 과정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kubectl delete node hssm-master03" 명령어로 node를 제거해보겠습니다.

그리고 hssm-master03노드에서 "kubectl reset" 명령어를 진행하여 클러스터 리셋을 시켜줍니다. 해당 CRI옵션은 컨테이너런타임을 crio로 사용하였을때 추가해주는 옵션입니다.

마스터 노드로 join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총 3가지입니다. token 값, hash 값, certificate-key 값

Token

메인 마스터 노드로 이동하여 token 리스트부터 조회 해보겠습니다. token은 24시간이 지나면 만료되므로 만약 새로 생성하실 경우,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kubeadm token create

token list를 조회할 때는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

kubeadm token list

Hash

hash값을 조회할 때는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openssl x509 -pubkey -in /etc/kubernetes/pki/ca.crt | openssl rsa -pubin -outform der 2>/dev/null | openssl dgst -sha256 -hex | sed 's/^.* //'

Master Node Join

이 값들을 조회해서 master node join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추가할 노드에서 해당 명령어 입력해주세요. cri-sock 옵션은 CRI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생략하셔도 됩니다.

kubeadm join [master node 주소]:6443 --token [위에서 발급받은 토큰 값]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위에서 발급받은 해시 값] \

--control-plane --cri-sock=/var/run/crio/crio.sock

Worker Node Join

이 값들을 조회해서 worker node join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추가할 노드에서 해당 명령어 입력해주세요.

kubeadm join [master node 주소]:6443 --token [위에서 발급받은 토큰 값]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위에서 발급받은 해시 값]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마스터 및 워커 노드 확장 끝~

from http://sinsomi.tistory.com/113 by ccl(A) rewrite - 2021-12-13 16: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