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알고리즘 개념 총정리 - 정렬
알고리즘 개념 총정리 - 정렬
a) 버블 정렬(Bubble Sort)
- 인접한 요소끼리 크기 비교를 하며 swap과정을 통해 정렬한다.
- 더이상 swap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까지 정렬과정을 반복한다.
- 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b) 삽입 정렬(Insertion Sort)
- 가장 좌측의 요소를 기준으로 다른 요소와 비교하며 swap과정을 통해 정렬한다.
- 기준 요소보다 작은 요소들은 기준요소의 좌측에, 큰 요소들은 기준요소의 우측에 정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 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c) 선택 정렬(Selection Sort)
- 가장 좌측 요소의 위치를 포인터로, 포인터가 가리키는 요소보다 작은 요소를 찾아 swap하며 정렬한다.
- swap이 한번 일어날 때마다, 포인터의 위치는 오른쪽으로 한칸씩 증가하며, 정렬 과정을 반복한다.
- 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d) 병합 정렬(Merge Sort)
- 배열의 요소를 최소단위(길이 1의 배열)로 쪼개어 재구성한 후, 각 배열에 포인터를 두어 크기를 비교하며 병합하여 정렬한다.
- O(log n)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e) 빠른 선택(Quick Selection)
- 배열의 n번째 크거나 작은 요소를 찾기 위한 알고리즘
- 특정 요소를 기준(pivot)으로 지정하여 기준요소보다 작은 요소는 좌측에, 큰 요소는 우측에 정렬한다.(파티셔닝 기법)
- 배열의 가장 좌측과 우측에 포인터를 두어 요소의 값을 비교 및 swap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정렬한다.
- Quick Selection은 한번 진행하였다고 모든 요소가 정렬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찾고있는 요소의 위치를 추측할 수 있다.
- pivot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찾는요소가 존재하므로, 탐색의 대상이 줄어든다는 장점을 갖는다.
- pivot이 배열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으로 선택된 경우, 이를 최악의 경우로 판단하며 O(n^2)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pivot이 배열의 Median(중간 값)에 근사한 값인 경우, 이를 최적의 경우로 판단하며 O(log 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빠른선택 알고리즘은 최악의 경우와 최적의 경우를 기반하여 평균적으로 O(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고 판단한다.
f) 빠른 정렬(Quick Sort)
- 빠른 선택 알고리즘과 동일하게 파티셔닝 기법을 사용한 정렬 알고리즘이다.
- pivot을 기준으로, 좌/우측 요소에 재귀적으로 Quick Sort를 적용하며 정렬한다.
- pivot이 배열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인 경우, 이를 최악의 경우로 판단하며 O(n^2)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pivot이 Median에 근사한 값인 경우, 이를 최적의 경우로 판단하며 O(n log 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최적의 경우, 파티셔닝 과정을 O(log n) 그리고 좌/우측 요소에 대한 재귀적 수행을 O(n)의 시간복잡도로 판단한다.
g) 힙 정렬(Heap Sort)
- 우선순위 큐(= heap를 이용하여 정렬한다.
- Heap의 성질(완전 이진트리, Min/Max heap)을 이용하여 배열의 요소를 정렬하는 방식이다.
- heapify 하는 과정은 O(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heappop의 과정은 O(1)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root 노드이므로)
- heappush의 과정은 O(log 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완전 이진트리이므로 탐색의 갯수고 50%씩 감소)
h) 계수 정렬(Counting Sort)
- 배열의 요소를 계수로 이용하여 정렬하는 방법
- 가장 큰 요소와 가장 작은 요소의 차이만큼 길이를 갖는 배열을 생성하고, 배열의 요소를 index로 활용하여 그 갯수를 표시한다.
- O(n + k)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K는 배열의 가장 큰 요소로, K의 크기에 따라 계수를 기록할 배열의 크기가 정해지고 탐색을 위한 반복문의 횟수가 정해진다.
i) 기수 정렬(Radix Sort)
- 배열 요소의 자릿수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방법
- Counting Sort의 단점(계수 배열의 크기가 input에 따라 좌우되는 것)을 보완하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 요소의 자릿수를 이용하므로, 기수의 범위가 0 ~ 9로 길이 10의 배열만을 이용한다. (K = 10으로 고정)
- O(w * (n + k))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w는 가장 큰 요소의 자릿수, n은 배열의 길이, k는 10으로 고정된 값이다.
- ex) 가장 큰 요소가 3자리 수인 배열의 경우, O(3 * (n + 10))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므로, O(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ex) w = 100, n = 10인 경우, w가 n^2과 동일한 값이므로 O(n^2)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j) 정렬 알고리즘 별 시간복잡도 정리
1. Bubble Sort → O(n^2)
2. Insertion Sort → O(n^2)
3. Selection Sort → O(n^2)
4. Merge Sort → O(log n)
5. Quick Sort → 최악의 경우: O(n^2), 최적의 경우: O(n log n), 평균의 경우: O(n)
6. Heap Sort → heapify: O(n), heappop: O(1), heappush: O(log n)
7. Counting Sort → O(n + k)
8. Radix Sort → O(w * (n + k))
from http://devraphy.tistory.com/455 by ccl(A) rewrite - 2021-12-23 18:26:47